본문 바로가기

지역 Story

파주 청년센터·청소년 상담복지센터 이용 정보

1. 파주시 청소년 전용 공간 쉼표, ‘쉼과 성장’의 공간

파주시에는 청소년이 학교 외에서도 편하게 머무르며 교류하고 배울 수 있는 [청소년 전용 공간 ‘쉼표’]가 있습니다.

이 공간은 청소년의 정신 건강과 사회적 역량 강화를 목표로 만들어진 곳입니다.

만 24세 이하 청소년이라면 누구나 무료 이용 가능 하니 아래 내용을 확인해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 운영시간: 월요일 ~ 토요일 [오전 10시 ~ 저녁 7시], 일요일 휴관
  • 시설 구성:
    • 1층: 휴식 공간, 보드게임, 코인 노래방, 공용PC
    • 2층: 스터디룸, 강연장, 스터디 카페

추가로 영화 상영회, 목공·미술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정기적으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주최 일정은 인스타그램 이나 페북 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 공간은 특히 청소년기 마음 방황기에 진로, 학업, 진로불안 등을 고민하는 청소년들에게 매우 유용하며,

상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첫걸음으로 활용 가능합니다.

파주 청년센터·청소년 상담복지센터 이용 정보


2. 파주 청년역량 강화, 마을배움터·청년센터의 다양한 기능

파주시 내에는 ‘청소년 전용 공간’ 외에도 청년들을 위한 공공 서비스가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습니다.

특히 청년센터 및 마을배움터는 청년들의 취업, 창업, 커뮤니티 활동을 지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주요 제공 프로그램은 아래과 같습니다.

  • 진로·창업 멘토링 및 교육: 소규모 강연, 워크숍, 취업 준비 세미나
  • 공유 오피스 및 스터디 공간: 장기간 프로젝트 또는 시험 준비를 위한 지원
  • 소셜 모임 및 네트워킹 행사: 파주시 내 청년 커뮤니티 활성화 지원
  • 심리 상담 및 자율 쉼 공간 제공: 심리적 안정을 위한 1:1 상담 연계 가능

또한 각 센터별로 사전 예약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온라인 또는 전화로 쉽게 이용 신청이 가능합니다.

대부분 무료 또는 소액의 운영비로 서비스를 제공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파주시 홈페이지 또는 SNS 페이지에서 프로그램 일정과 신청 안내를 반드시 확인하셔야 합니다.

파주 청년센터·청소년 상담복지센터 이용 정보


3. 청소년·청년 상담복지센터, 내 곁의 심리·생활 코치

파주시에는 청소년상담복지센터청년복지센터가 운영 중입니다.

아래와 같은 상담과 복지 서비스를 제공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심리·정서 상담: 학교, 가정, 진로 스트레스, 우울·불안 관련 전문 상담
  • 생활 상담: 경제·주거·비자 문제 등 실생활 문제 해결 지원
  • 위기 개입 서비스: 자살·폭력 등 긴급 상황 시 즉각 대응
  • 치유 및 회복지원 프로그램: 집단상담, 힐링 캠프 또는 문화 활동 지원

이용은 전화 또는 온라인 상담 예약 → 담당 상담사 매칭 → 초기면담 → 심화상담/프로그램 참여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청소년의 경우 친권자의 동의가 필요하며, 전반적인 상담에 대한 내용은 비밀보장을 준수하고 있으니 안심 하셔도 될것 같습니다.

 

📌 긴급 위기 상황 시, 24시간 운영되는 ‘청소년 전화 1388’ 및 ‘청년상담 1397’도 연계 가능하며,

      파주 복지센터와 상시 협조 체계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파주 청년센터·청소년 상담복지센터 이용 정보


4. 파주시 지원 서비스, 청년·청소년을 위한 맞춤 복지 꿀팁

파주시에서는 위 센터를 활용하는 시민들을 위해 다양한 이용 팁과 복지 혜택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1. 무료 방문객환영: 모든 상담 및 시설 이용은 무료이며, 증빙서류 없이 신청 가능
  2. 소속 학교·기관과 협업: 학교 및 청년단체와 협업 프로그램 운영으로 접근성 향상
  3. 심리검사 비용 지원: 원하는 경우 기본 심리검사(우울·불안·성격 등) 무료 실시
  4. 장기 참여 혜택: 캠프, 워크숍 등 장기 참여자에게 교통비·식비 일부 제공

✅ 청년센터 참여 시 경력·취업 연계가 가능한 실습 기회 제공 되고 있습니다.
✅ 청소년 프로그램 참여 시 동료와 함께 활동할 수 있는 집단상담 기회가 있습니다.

 

📌 센터 이용 전 파주시청 홈페이지 또는 공식 SNS에서 프로그램 일정, 신청일정, 참여 자격 등을 반드시 확인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